제목+내용 제목 내용 회원아이디 이름 검색 검색결과 []드디어 이뤄졌다, 김장겸 퇴출 결국, 순리로 돌아가는 것이 보이는군요.공영방송 MBC 장악 과정에서 정점을 찍은 인물, 김장겸, 결국 이사회와 주총을 통해 그에 대한 해임 결정이 내려졌습니다. 계속 공영방송 정상화를 외치며 싸웠던 노조원들이 결국은 승리한 것입니다. 이제 이들이 다시 방송으로 복귀하면, 무한도전과 다른 프로그램들도 정상화되어 방송되겠지요. 아마 그동안 MBC라디오에서 들을 수 있었던 수준높은 선곡의 음악 프로그램(?)을 듣지 못하는 이들만 조금 섭섭해 하겠군요. 그리고 일베류의 '또라이'들이나 극우충, 속칭 *도 모르는 것들이 보복 운운하겠지만,… 아기다리고| [한국 지금은]몰입형 미디어 아트전 ‘구스타프 클림트, 골드 인 모션(Gustav Klimt, Gold in Motion) 몰입형 미디어 아트전 ‘구스타프 클림트, 골드 인 모션(Gustav Klimt, Gold in Motion)’이 지난 5월 27일 대단원의 막을 열고 오는 2023년 3월 5일까지 광진구 워커힐 빛의 시어터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제주도 성산 빛의 벙커에서 성황리에 진행되었던 빈센트 반 고흐 '별이 빛나는 밤'에 몰입형 미디어 아트전에 이어 서울에서도 열리는 ‘빛의 시리즈’ 두 번째 프로젝트이다(지금 제주에서는- 제주에 가면 꼭 봐야 하는 몰입형 미디어아트, 빈센트 반 고흐전 '별이 빛나는 밤' 콘텐츠참조 ht… |2022-06-02 [새하마노]십수 년전 사둔 책을 만났습니다 ○저는 사람들이 누군가에 대해서 말할 때 그 사람이 그 사람 맞나 하는 의심을 가집니다 필요 이상으로 호들갑에 치장돼 있거나 심하게 일그러진 채 묘사되기 때문이지유 이런 식견이 생긴 건 요 정도 살다보니 언어에서 맛과 결 그리고 감각까지 저절로 터득하게 된 때문이지요 ... ... 십수 년전 사둔 책을 만났습니다 '절터 그 아름다운 만행' 명산대찰 名山大刹에 관한 흔하디 흔한 책이 아니라 '그저 절터' 이야기입니다 또한 휘황찬란한 불상 이야기도 아닙니다 절터... 절터를 폐사지 廢寺址란 말로 표… |2022-05-20 [새하마노]국적을 빼앗긴 우리의 정겨운 잡초들! 며느리밥풀꽃, 중대가리풀, 개불알풀, 애기똥풀... (이른 봄 야산에서 꽃피우는 양지꽃) 우리나라에서 사는 식물은 4,577종류로 덴마크 1,500여 종, 영국 2,000여 종에 비하면 많은 식물이 자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식물은 움직임이 많은 동물과 달리 땅에 뿌리를 내리고 정착 생활을 한다. 각 나라마다 고유한 환경 조건에 따라 식물이 살아가고 있어서 나라마다 식물자원을 고유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외국에서는 볼 수 없는 식물을 우리의 산야에서 즐겨 볼 수가 있다. 철마다 각양각색의 꽃을 피워 우리의 맘을 달래주며 한민족과 함께 한반도를 지키며 꿋꿋이 살아온 … |2022-04-23 [새하마노](사유하는 여행) 원점회귀 기차여행, 충주 하늘이 봄이 오는 걸 시샘하던 날강원과 중부내륙지방에는 많은 눈이,전국적으로 눈과 비가 내리던 날.기차여행이닷. 서울을 중심으로 기차를 타고 U자형으로 한바퀴 돌아오는, 이름하여 U-Viator(여행자)원점회귀 기차여행! 기차를 유독 좋아하는 필자가 몇 년전 코스를 생각해내서 다니기 시작한 이래, 이 번 여정이 세 번째가 되는 것 같다. 아무리 기차가 좋아서 하는 기차여행이라해도 몇 시간을 주구장창 앉아만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인지라,중간 어디선가 기차시간의 틈을 두고 그 지역을 걸으며느낄 수 있는 여정을 끼워넣음으로써 나태해… |2022-03-30 [새하마노]장수와 행복을 상징하는 꽃, 복수초(福壽草) 복수초(학명 :Adonis amurensis) (이른 봄 눈 속에서 피어나는 ‘복수초’) 겨울이 끝나기도 전에 여기저기서 복수초가 피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 복수초란 이름을 처음 들으면 무시무시한 복수의 전설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복수초(福壽草)는 행복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꽃이다. 이 꽃의 한자가 뜻하듯이 인간의 행복은 부유하게 오래 사는 것인가 보다. 코스모스와 비슷하게 생긴 노란 꽃잎 때문에 ‘황금의 꽃’이란 별명을 얻게 되었으며, 장수와 행복을 상징하는 꽃이 되었다. 미나리아재비과에… |2022-03-19 [새하마노]사유하는 여행- 당일치기 제주 올레길 걷기 참 복잡한 세상이다.흐름이 빠르다 보니 머리는 말할 것도 없고 눈, 코, 입, 귀 등이 쉴 틈이 없다. 정신적 여유도 없고 경제적 여유도 부족하고,왠지 자꾸 세상에 말려들어갈 것 같은 기분이다. 나에게 주는 시간! 하루!제주를 당일치기로 다녀왔다. 이번 테마는이것 저것 한눈 안팔고 걷기!이동수단은 (재미나요) 제주버스!목적지는올레꾼들이 제일 좋아라~한다는 올레 10코스와 조용한 포구마을의 독특한 선인장자생지가 아름다운올레 14코스 해변길 일부! 제한시간 새벽부터 밤까지... 미션은하루 안에 원래 집으로 돌아오기!… |2022-03-11 [길 속의 길]한라산둘레길 완공을 기다리며… 현재 한라산 둘레길은 전체를 다 아우르는 건 아니며 거의 80%쯤은 이어진 거 같아 머지않은 날에 빙~둘러진 완성된 둘레길을 기대해본다. 이미 몇번을 완주했으니 완성이 된다면 다시 한번 한꺼번에 이어 걷고자 한다(10여일이면 가능할듯?).현재 개통된 한라산 둘레길은 총 80km. 한라산을 중심에 두고 현재 이렇게 이어져있다. 한라산둘레길 2구간인 돌오름.우린 임도길(옛 병참로)로 이동해서 이곳부터 걷기로 했다. 이곳은 해발 900여 미터쯤 되겠지?올겨울 눈과 얼음을 본 게 지난번 한대오름을 걷던 때 그 이… |2022-02-26 [길 속의 길]조지훈 ‘승무’에서 유래한 ‘외씨버선길’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파르라니 깎은 머리 박사(薄紗) 고깔에 감추오고, 두 볼에 흐르는 빛이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빈 대(臺)에 황촉(黃燭)불이 말없이 녹는 밤에오동(梧桐)잎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소매는 길어서 하늘은 넓고돌아설 듯 날아가며 사뿐이 접어 올린 외씨버선이여.(중략) 청록파의 대표 시인, 조동탁(東卓)의 ‘승무’라는 시이다.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 주실마을에서 태어난 지훈(芝薰)은 그의 아호이고 그의 이름은 동탁이다. 이 승무의 싯구 ‘외씨버선’을 모티… |2021-11-16 [새하마노]지구를 식혀주는 고마운 나무, 담쟁이덩굴 담쟁이덩굴을 이용한 벽면 녹화 담쟁이덩굴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보이는 식물이다. 그러나 예전에는 담쟁이덩굴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흙으로 집을 짓고 살던 시절에는 담쟁이덩굴이 골칫거리였다. 흙담 갈라진 틈으로 뿌리를 내리거나 헐거운 창틈을 비집고 들어와 줄기가 방안으로 들어왔기 때문이다. 벌레, 쥐, 박쥐 등의 서식처가 되어주는 곳이니 사람들에게는 담쟁이덩굴은 반갑지 않은 존재였을 것이다. 그러나 시대가 바뀌어 담쟁이덩굴은 지구를 식히는 고마운 나무가 되었다. 도시에서 나무를 심을 공간이 부족하여 벽면 녹화라는 방법을 생각… |2021-09-13 12 3 4 5 6 7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