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얼의 근본이 되는 선비사상과 유적들

기사입력 2018.10.01 13:33 조회수 2,148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sonbi1.jpg

 

청렴결백하고 지조를 중시하는 사람, 어떤 처지에서도 품위를 잃지 않는

고고한 정신,

세속에 물들지 않고 늘 학문을 가까이 하는 사람을 가리켜 우리는 선비라고

한다.

그런 선비의 방은 비록 문갑과 서안, 책장, 글씨로 된 병풍이 고작이지만

그 분위기에서는 선비의 높은 지조와 정신이 엿보인다.

 

한국의 학자들 가운데 한국 전통문화의 본질을 선비정신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선비정신은 의리를 지키고 절개를 중히 여기는 도덕적 인간의 정신을 말한다.

이는 조선조의 지도이념인 유교에 입각한 지배계층의 생활신조로서

말하자면 조선시대를 이끌어온 이상적인 문화유형의 하나다.

인격이 높은 선비일수록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산림에 묻혀 도학(道學)과 덕행을 쌓는 것으로 본분을 삼았다.

 

<선비는 민족원기의 기탁(寄托)이며, 국가명맥의 최후 보루이다>,

<선비의 치욕은 국가의 치욕이다>라고 할 만큼 당시 선비의 위상은

한국의 정치, 경제,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드높은 경지를 이루며,

학문의 연원이 되어 이 시대의 사상을 풍부하게 했다.

 

도학 군자로 일컬어지는 이퇴계, 이율곡을 비롯하여,

산림유(山林儒)의 표상이 돼온 남명 조 식 등의 지고한 선비 정신은

우리의 전통적인 인간관으로 한국 사상과 철학의 중요한 맥을 형성하였다.

 

서안 960.jpg

 

 

지필묵연(紙筆墨硯)

son_200.jpg문방으로 사용되던 사랑방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하던 도구는 종이(紙), 붓(筆), 먹(墨), 벼루(硯)의 필기구이다. 이 네가지는 문방사우(文房四友)라고도 불리우는데 이는 서로 떨어져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선비들은 금구슬이 앞에 있을지라도 흙처럼 여기는 청렴함을 자랑으로 삼지만 문방사우를 탐내는 욕심만큼은 '선비의 벽(癖, 무엇을 치우치게 즐기는 병증)'으로 용서하였던 것이다.

 

이들 문방사우는 서로의 벗일 뿐 아니라 선비에게도 벗이 되어 학문을 연마하는 동안 내내 옆에서 친구가 되어 주고 공부를 통해 귀결(歸結)되는 그들의 글정신을 나타내어 알리게도 하였다.

  

 

 

 

 

 

 

 

 

소수서원 내부.jpg

 

 

소수서원(紹修書院)
사적 55호, 경북 영주군 순흥면 내죽리

 

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에 시작된 것으로 학문을 연구하고 선현(先賢)을 기리기 위하여 사림(士林)에 의해 설립된 사설교육기관인 동시에 향촌자치운영도 담당하였다. 서원에서는 성리학적이고 도학적인 것을 교육하는 동시에 선현에 대한 제향(祭享)도 중요시하였는데, 이는 원생들에게 바람직한 인간상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함이었다.

 

 

처음으로 정치적 문화적으로 활동을 하게 된 서원은 1542년 주세붕(周世鵬)에 의해 세워진 백운동(白雲洞) 서원으로 고려의 학자인 안향(安珦)을 배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이후 1550년에는 퇴계 이황(退溪 李滉)이 소수서원(紹修書院)이라는 액서(額書, 사액사원의 줄임말, 임금이 직접 이름을 지어주고 노미, 토지 등을 하사한 서원)를 받음으로써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賜額)서원이 되었다. 서원의 뒤에는 몇백년 묵은 소나무숲이 울타리를 치고 있고 앞에는 제법 많은 물이 흘러 맑고 밝고 조용한 학문을 연마하기에 더 없이 좋은 환경을 이루고 있다.

  

도산서원.jpg

 

도산서원(陶山書院)
사적 제170호, 경북 안동군 도산면

 

낙동강이 내려다 보이는 산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도산서원은 본디 퇴계 이황이 제자들을 가르치려고 세운 서당이었으나 스승이 타계한 후 그의 제자들이 서원을 세웠다. 옛날 선비들이 한번쯤은 찾아보고자 선망하던 곳이었으며,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지는 곳으로 마당에는 과거의 선비들의 모습을 대변하는 듯 퇴계가 아끼던 살구나무가 우거져 있다. 경내에는 퇴계가 제자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손수 지은 도산서당(陶山書堂)이라는 아담하고 소박한 건물이 있다.

 

이 건물에서 퇴계가 기거하면서 학문을 연마하고 제자들을 가르쳤고, 제자들의 기거를 위해서는 용운정사(龍雲精舍)를 지었다. 이 건물은 '工'字 모양을 하고 있는데 공부를 하는 집이라는 의미가 있다고 하며, 창문 등 가옥의 구조가 앉아서 공부하기에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선비의 공부는 책에서만 얻는 것이 아니고 학생과 스승은 함께 먹고 자면서 지식 뿐만 아니라 인간으로써 가져야 할 도리까지도 연마하는 것이었다. 현존하는 도산서원이라는 편액(扁額)은 당대의 최고 명필이던 석봉 한호(石峯 韓護)가 쓴 것이 전해지고 있다.

   

일지암.jpg

 

다산초당(茶山草堂)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로, 그가 저술한 책 모두를 일컬어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라고 하는데, 총 500여권에 달하는 이 책들은 철학, 윤리, 정치, 경제, 사회, 과학, 문학 등 거의 모든 분야를 총망라하고 있다.

 

이러한 방대한 저술은 대부분 그의 유배시절에 지어진 것으로 유배라는 난관을 오히려 승화시켜 위대한 업적을 이룬 것이다. 조선의 선비들은 관직에 임하여서나 혹은 유배지에서도 자신의 학업을 게을리하지 않고 끝없이 연마하였던 것이다.

 

즉 자신의 위치나 지위에 상관없이 고고한 선비의 정신은 대를 이어 끊이지 않는 것이다. 또한 그가 저술의 대부분을 썼던 다산초당(茶山草堂) 역시 한 채의 작은 집에 불과하지만 선비정신을 드러내는 구체적인 증거로 우리에게 남달리 다가오는 것이다.

  

 

전주향교.jpg

 

전주향교(全州鄕校)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교동

 

향교는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된 관학교육기관이다. 상징적인 기능만으로 이해되던 유교적 이념과 정치구조의 내용을 기층사회에까지 침투시키려 설립한 향교는 지방사회 내부에서 자기발전 도구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유학교육의 성과를 과거제도를 통해 확인하게 되어 관인후보자를 양성하기 위한 기관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하였다.

 

향교의 구성은 서울의 성균관을 닮아 선현을 배향하는 공간과 학생을 교육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배향공간이 우위에 있다. 전주향교도 이러한 향교 중의 하나로 고려말에 세워졌으며 총 99칸의 대규모 건물로 되어 있어서 전라도 53관의 수도향교(首都鄕校)라 칭하였다. 이 향교의 대성전은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7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들 향교의 설립취지에서 우리는 지(知)와 행(行)의 일치를 추구하던 선비들의 정신을 엿볼 수 있다.

   

son_7g1.jpg

 

 

성균관(成均館)
서울 종로구 명륜동

 

성균관은 고구려의 태학, 신라의 국학, 고려의 국자감의 뒤를 잇는 조선시대의 유학교육기관으로 인재양성을 위한 국립대학과 같은 유학교육기관이다.

 

성균관에의 입학에는 자격제한이 있어서 대체로 양반 사대부 자제들에 국한되어 있었고, 성균관에 입학한 유생들은 기숙사에 머물면서 공부에만 전념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들은 소학정신을 바탕으로 한 주자학정신을 배우며 동시에 성현을 섬김으로써 이론과 실제 행동을 일치시키는 것을 미덕으로 하였다. 성현을 모시는 공간은 강당인 명륜당(明倫堂)과 숙소인 동/서재(東/西齋) 등과 함께 어울려 있으면서 기단이나 건축양식 등이 이들보다 우위를 차지하였다.

 

이렇게 유교의 교육과 성현을 모시는 것은 성균관 뿐 아니라 지방의 향교에도 이어져 이러한 교육체계는 조선의 선비를 양성하는 모든 교육기관에서 추구하던 것임을 알 수 있다.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

 

 

son_8g1.jpg

퇴계 이황은 한국의 대표적인 선비로, 그의 학자로서의 인품은 초상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그가 활동하던 시기는 공적인 도리와 개인의 이익에 대한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부조리의 사회였기 때문에 공의(公義)와 사리(私利)의 구별을 뚜렷이 하는 것이 가장 중요했다.

 

따라서 그가 취할 수 있는 일은 정치현실에서 떠나 학문을 닦음으로써 도(道)를 전해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은둔하고자 했던 그에게 끊임없이 관직이 권해졌고, 관직에 올랐다 물러나기를 여러 차례한 끝에 결국 영원한 은둔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여 부패하고 문란된 중앙에서 벗어난 외직을 지망하였다.

 

그 후로도 번번히 관직을 사양하였고 69세가 되자 결국은 고향에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관직과 낙향을 번갈아 하던 그의 사상은 그의 제자들에 의해 도산서원에서 계속 이어져 내려왔다.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저작권자ⓒ코리아인사이트 & www.koreainsight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이름
비밀번호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