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새하마노기사 반딧불이는 오늘 밤도 사랑의 불을 밝히고 짝을 찾아 나섰다2022/07/04 청정 경북 영양에는 반딧불이가 지천이다. 그만큼 물 맑고 공기가 좋다는 뜻이다. 우리나라 최대의 반딧불이 서식처로 도심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다채로운 볼거리와 체험을 통해 천연자연경관의 아름다움과 환경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영양군 수비면 반딧불이로 129번지(수하리 225-1번지)에 28,655㎡의 대지 위에 반딧불이생태공원이 있다. 지금처럼 무더운 여름 밤에 별처럼 반짝이는 반딧불이는 희망과 맑은 영혼의 상징이다.아시아 최초로 국제밤하늘보고공원이 있는 영양의 또 다른 보고이다. 이런 청정지역에 사는 나는 매일 반딧불이와 함께 산다.어제 밤에도 카메라를 들고 나섰다. 반딧불이들은 온 숲에서 사랑의 불을 밝히고 짝을... 세속에 물들지 않은 청렴한 인간의 상징, 백로2022/06/09 백로는 물이 풍부한 습지를 좋아한다. 이는 백로의 먹이인 미꾸라지며 우렁이 등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물이 풍부한 마을은 자연히 너른 곡창지대가 되었으며 부자 마을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백로는 부자마을에서만 모여 산다는 말이 나오고, 다른 마을의 처녀, 총각들은 백로가 모여 사는 마을로 시집, 장가를 가려 했다는 것이다. 물론 백로가 마을을 부유하게 만드는 것은 아니지만 여유가 있는 생활에서 나오는 후한 마음은 백로를 신성한 길조로 생각하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또한 백로는 마을을 지키는 파수꾼으로도 여겨졌다. 마을 뒷동산의 소나무 꼭대기에 앉아있던 백로는 멀리서 외부인이 찾아오는 것을 미리 알려 주었으며 적이 침범해 올... 십수 년전 사둔 책을 만났습니다2022/05/20 ○저는 사람들이 누군가에 대해서 말할 때 그 사람이 그 사람 맞나 하는 의심을 가집니다 필요 이상으로 호들갑에 치장돼 있거나 심하게 일그러진 채 묘사되기 때문이지유 이런 식견이 생긴 건 요 정도 살다보니 언어에서 맛과 결 그리고 감각까지 저절로 터득하게 된 때문이지요 ... ... 십수 년전 사둔 책을 만났습니다 '절터 그 아름다운 만행' 명산대찰 名山大刹에 관한 흔하디 흔한 책이 아니라 '그저 절터' 이야기입니다 또한 휘황찬란한 불상 이야기도 아닙니다 절터... 절터를 폐사지 廢寺址란 말로 표현하는 게 싫습니다... 국적을 빼앗긴 우리의 정겨운 잡초들! 며느리밥풀꽃, 중대가리풀, 개불알풀, 애기똥풀...2022/04/23 (이른 봄 야산에서 꽃피우는 양지꽃) 우리나라에서 사는 식물은 4,577종류로 덴마크 1,500여 종, 영국 2,000여 종에 비하면 많은 식물이 자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식물은 움직임이 많은 동물과 달리 땅에 뿌리를 내리고 정착 생활을 한다. 각 나라마다 고유한 환경 조건에 따라 식물이 살아가고 있어서 나라마다 식물자원을 고유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외국에서는 볼 수 없는 식물을 우리의 산야에서 즐겨 볼 수가 있다. 철마다 각양각색의 꽃을 피워 우리의 맘을 달래주며 한민족과 함께 한반도를 지키며 꿋꿋이 살아온 ‘한국의 야생화’는 독성이 강한 것이 없어 식용 혹은 약용으로 쓰이고 있으며 생필품을 만드는... 장인 어르신의 유품2022/04/19 ○삼우제를 마치고 돌아와 장인 어르신의 유품을 정리하면서 20대 청춘기에 시작된 인연과 60대 어느 날까지 이어진 추억 또한 회수하였습니다 유품이란 제가 드렸던 사진과 두 권의 내 책이었습니다 ●처가 동네에서 대학을 다녔고 그 인연으로 아내를 만났으니 80년대 시작된 그곳에서의 인연이 근 40여 년이 넘었군요 추억을 미화하는 호들갑 떨기 싫어 그냥 덤덤히 지내려 했는데 ... ... '고모부 막걸리 사드시라고 봉투 준비했는데 깜빡했네요 나도 나일 먹는지 자꾸 ...' 나보다 3년 앞서 늙어가시는 처형의 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