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한국 속보기기사 한국의 전통시장 (8) 상주곶감 장2021/01/12 경상북도 상주지역은 조선시대부터 낙동강의 수운으로 상업활동이 활발했던 곳이나 현재 5일장의 쇠퇴 속에서 곶감장만이 상주장의 명맥을 잇고 있다. 낙동강 상류가 흐르는 상주는 옛부터 '삼백(三白)'이라 하여 쌀, 누에고치, 곶감이 유명한데 특히 한서차(寒暑差)가 심한 지역적 특성 덕분에 감의 당도가 높아 집집마다 감나무를 재배하여 곶감은 전국적으로 유명한 산물이 되었다. 상주는 곶감의 본향으로서 상주에서도 화북면, 화서면, 모동면, 모서면, 내서면은 200년 이상의 둥시 감의 생산량이 많으며 연시로 팔리기도 하지만 대부분 곶감으로 만들어져 팔린다. 감이 익어 단맛이 드는 10월경에는 온 마을이 감을 깎아 한 달간 햇볕에 ... 한국의 전통시장 (7) 경동약령시장2020/10/14 약령시장은 조선시대 효종 때부터 열린 한약재 전문 재래시장으로 청주, 대전, 공주, 대구, 전주, 원주 등이 있었으나 현재는 서울 제기동과 대구 남성로 일대만 남아있다. 약령시(藥令市)라는 명칭은 관(官)의 명(令)에 따라 개시(開市)했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라는 설이 있다. 서울 약령시는 과거 '제기동 약재시장'으로 불리기도 했고 '경동시장 한약재거리'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서울시 동대문구 제기동에 위치한 경동시장(京東市場)은 경동이라는 이름이 뜻하듯 본래 서울의 동쪽 경기도와 강원도의 농촌 주민들이 농산물, 토산품, 특산물들을 내어다 팔면서 상인들이 모여들어 큰 시장을 형성했다. 지금의 모습은 1... 한국의 전통시장(6) 부산 자갈치시장2020/06/23 (사진:덕담 박승우) 부산광역시 남포동에서 충무동 3가에 이르는 해안에 우리나라 최대의 어시장인 자갈치시장이 있는데 1945년 광복 후에 시장이 형성되었고 당시에는 남포동 시장이라고 불렸다. 지금의 현대식 건물들이 들어서기 전에는 해안에 길게 늘어선 포장마차들이 사실 자갈치시장의 본 모습이라 해도 과언은 아니었다. 이곳 포장마차에서 취급하는 어종은 다양하여 고래고기 육회만을 취급하는 곳이 있을 정도였다. 자갈치라는 이름은 과거 이 곳에 부두가 생기기 이전 자갈이 많은 해변 즉 자갈처(處)에서 연유된 것이 자갈치로 변한 것이라 한다. 예전에는 어민들이 잡은 생선을 자갈밭에 펼쳐 전시해 놓으면 전... 한국의 전문시장(5) 여주 곡물시장2020/06/01 여주군 일대는 경기도 동남부에서 보기드문 곡창지대로 여주 흔암리 청동기시대 주거지에서 출토된 탄화 볍씨에서 알 수 있듯 이 지역에서의 쌀의 재배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남한강을 중심으로 수운이 발달했던 경기도 여주시 하동에는 여주장이 있다. 여주장은 고려시대부터 형성되었다고 전해지나 조선 중기부터 문헌에 보이며, 매월 5일과 10일 개설되는 오일장인 여주장과 상설시장인 여주한글시장으로 구분된다. 주요 거래 품목은 쌀을 비롯한 농산물이다. 여주 곡물시장은 1940년대까지만 해도 원주, 이천, 장호원의 시장을 아우르고 있었다. 또한 남한강을 끼고 있는 환경 영향으로 수운에 의지하던 시절에는 장꾼들이 가장 많이 모이는 곳으로 ... 한국의 전문 시장(4) 담양 죽물시장2020/05/12 (사진 출저:담양군청) 전라남도 담양의 관방제(官防堤, 담양군 담양읍 객사리에 있는 옛 제방. 조선 정조 18년, 1794년에 축조) 아래 하천가에는 2일과 7일로 끝나는 날이면 우리나라 유일의 죽세공품 시장이 열린다. 담양의 죽세공품은 국내에서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그 품질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담양이 대나무의 고장이 된 것은 대가 자랄 수 있는 천혜의 자연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그 시기는 약 400여 년 전으로 추정되고 있다. 1760년에 펴낸 ‘여지도서’(1757년∼1765년에 각 읍에서 편찬한 읍지를 모아 성책한 전국 지방지, 읍지. 방리•도로•부세에 관한 제 조항 및 각 읍 읍지의 첫머리에 수록된... 1 2 3 4 5 6 7 맨끝